한국적 국제정치학을 모색하는
국제문제연구소
[유라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 국제문제연구소 총서 47권 출간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22.09.20 | 조회수 | 1789 |
---|---|---|---|---|---|
첨부파일 | 유라시아지정학적중간국표지.png [79kb] | ||||
<책 소개>
지정학적 중간국 개념은 현실주의적 사고를 바탕에 두었지만, “중견국”이나 “완충국” 개념보다는 더 지정학적이며 가치중립적이며 분석가능성을 열어주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 기존 “중견국”(middle power) 개념은 국력의 측정과 비교가 지니는 난이성과 규범적 내지 당위적 지향성으로 인하여 분석 개념이 되기 어렵기에 “중간국” 개념 도입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특히 최근 국제정치에서 “지정학의 귀환” 현상이 등장한 이후 미중 경쟁, 미러 경쟁 등 강대국 경쟁이 첨예화되어 지정학적 단층대가 활성화되는 상황은 이른바 중간국들이 처한 국제정치 및 지역정치에서의 지정학적 수압을 증대시킴으로써 그들의 외교 전략의 수립과 실현에 딜레마적 과제를 부과하게 된다. 이에 중간국 외교의 딜레마적 상황이 지역별로 어떻게 상이하게 나타나고 중간국의 외교전략은 어떤 유형으로 이에 대응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다시 중요해 지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이 한국의 대외전략에 대해 지니는 함의를 탐구하는 것은 정책적 차원에서도 시의적절한 함의도 지닌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아시아와 유라시아 지역 국가들의 중간국 외교를 진행하였다. 『아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에서는 동남아시아와 서아시아 및 남아시아 지역의 지정학적 중간국들의 외교를 분석한 글들을 모았다. 그리고 본서 『유라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에서는 중부와 서부 유라시아 지역의 지정학적 중간국들의 외교를 분석하였다.
머리말 / 신범식 제1장(서장) 아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의 비교연구 / 신범식
제1부 서부 유라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 제2장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의 지역정치와 중간국 외교 / 윤민우 I. 머리말 II. 중간국 외교의 결정요인과 동학: 이론적 분석의 틀 III.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의 외교정책과 주요요인들: 국내적 수준의 요인들과 외교정책 IV.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의 외교정책과 주요요인들: 대외적 수준의 요인들과 외교정책 V. 맺음말: 종합분석 및 함의점 제3장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 대러시아 관계와 국내정치 동학의 연관성 / 신범식 I. 머리말: 지정학적 중간국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의 상이한 여정 II.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의 외교노선 변동 III.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의 상이한 외교노선의 원인과 결과 V. 맺음말: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의 외교노선 비교와 정책적 함의 제4장 탈냉전기 폴란드와 헝가리의 중간국 외교 / 김규남 I. 서론 II. 외교정책 환경 III. 외교정책 분석 IV. 결론 제5장 핀란드와 에스토니아의 중간국 외교: 국가 정체성과 대외정책 / 최경준 Ⅰ. 서론 Ⅱ. 중간국 외교의 개념과 분석틀 Ⅲ. 핀란드의 중간국 외교 Ⅳ. 에스토니아의 중간국 외교 Ⅴ. 중간국 외교의 특성과 결정요인 Ⅵ. 결론 제2부 중부 유라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 제6장 지정학적 중간국의 외교전략: 몽골의 경제·안보 상호연계 정책 / 박정후 Ⅰ. 머리말 Ⅱ. 몽골 외교정책 배경 III. 민주화 이후의 외교정책 IV. 다자경제협력 사업 참여 Ⅴ. 맺음말 제7장 지정학적 중간국으로서 우즈베키스탄의 대외전략: 헤징의 시각 / 강봉구 I. 머리말 II. 안보 위협 부재 상황에서 ‘전략적 헤징’의 개념 III. 카리모프 시대의 ‘자립’ 노선과 헤징 IV. 미르지요예프 정부의 새로운 접근방법과 헤징(2017~ ) V. 맺음말 제8장 중간국 카자흐스탄의 외교정책 / 이지은 I. 들어가며 II. 카자흐스탄 외교정책에서의 대내외적 요인 III. 카자흐스탄 외교정책: 정부별 핵심 개념과 주요 특징 IV. 나가며: 중간국 카자흐스탄의 외교정책 제9장 조지아 대외정책의 방향성: 조지아의 對 EU, 러시아 관계 및 나토 가입 이슈를 중심으로 / 정세진 I. 머리말: 조지아 대외정책의 최우선 순위 II. 독립 이후 조지아 대외정책의 변동과 그 정체성 III. 조지아 대외정책의 친 서방 지향성 : 대 EU 관계 IV. 조지아와 나토 : 조지아의 나토 가입, 그 실행과 변수 요인 V. 조지아-러시아 관계, 그리고 조지아 대외정책의 성격 VI. 맺음말 윤민우 가천대학교 경찰안보학과 교수 김규남 바르샤바국립대학교 국제관계연구원 연구박사 최경준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조교수 박정후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객원연구원 강봉구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교수. 이지은 한국외국어대학교 중앙아시아학과 부교수 정세진 한양대 아태지역연구센터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