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적 국제정치학을 모색하는
국제문제연구소
한반도 신흥안보의 세계정치
군사영역 외 다양한 안보 문제에서 국가 외의 많은 행위자들이 관여된, 새로운 안보 패러다임이 부상하고 있다.
한반도의 변화하는 안보현상을 적극적으로 분석한다.
<한반도 신흥안보의 세계정치: 복합지정학의 시각> 최종발표회 (2016년 12월 26일)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조회수 | 5750 | |
---|---|---|---|---|---|
첨부파일 | ![]() |
||||
<국제문제연구소 최종발표회> 한반도 신흥안보의 세계정치: 복합지정학의 시각 일시: 2016년 12월 26일(월) 오후 1:00-6:00 장소: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 국제회의실 16동 349호 주최: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제1부> 신흥안보 복합지정학의 분석틀 1:00-3:15 사회: 윤영관(서울대) 신흥안보의 복합지정학과 한반도: 이론적 논의 -김상배(서울대) 창발적 안보와 복잡성 패러다임: 신흥안보 개념의 비판적 고찰 -민병원(이화여대) 동북아시아 지역공간의 복합지정학 -손 열(연세대) 남북한 관계의 복합 지정학 –전재성(서울대) 신흥안보와 지정학의 연결고리로서 외부효과 -조동준(서울대) >>> 휴식 3:15-3:30 <<< <제2부> 한반도 신흥안보의 세계정치 3:30-5:45 사회: 김상배(서울대) 경제환경의 신흥안보와 복합지정학 -이왕휘(아주대) 기술환경의 신흥안보와 복합지정학 -배영자(건국대) 인간안보의 신흥안보와 복합지정학 –이신화(고려대) 사회환경의 신흥안보와 복합지정학 -이승주(중앙대) 자연환경의 신흥안보와 복합지정학 -신범식(서울대) >>>마무리 토론 5:45-6:00<<< |
![]() |
컨퍼런스 (2016년 12월 7일)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