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적 국제정치학을 모색하는

국제문제연구소

연구소총서

[국제문제연구소 총서41]동굴 속의 철학자들: 20세기 정치철학자와 플라톤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1.08.25 조회수 2391
첨부파일 file 앞표지-동굴속의철학자들.jpg [232kb]


저자 소개

(null)

 

김지훈(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박사과정)

박성우(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박수인(제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조교수)

안태현(서울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강사)

이상원(인천대학교 윤리교육과 조교수)

표광민(동아시아연구원 선임연구원)


<차례>

머리말

 

 

 

1 진리 경험의 역동성과 긴장성: 하이데거의 파르메니데스에 나타난 플라톤 해석의 정치적 함의(이상원)

I. 서론: 정치적 존재와 진리의 고전적 문제성

II. 고대 철학적 진리 개념의 역동성

III. 하이데거의 정치체에 관한 고전적 사유와 플라톤 에르의 신화해석

IV. 진리의 열림과 닫힘, 그리고 정치적 존재의 긴장성

V. 결론: 진리의 가능성과 정치철학

 

2 스트라우스의 플라톤주의: 스트라우스 정치철학의 두 테마와 관련하여(박성우)

I. 서론

II. 자유주의의 위기 테마와 스트라우스의 플라톤주의

III. 이성과 계시의 갈등 테마와 스트라우스의 플라톤주의

IV. 스트라우스의 플라톤주의의 주요 쟁점들

V. 결론

 

3 왜 오크숏은 바벨탑에서 내려와 동굴로 향했는가?: 플라톤 정치철학 해석에 비춰 본 오크숏의 합리주의 비판(김지훈)

I. 서론

II. 바벨탑에서 내려오기: (정치적) 합리주의 비판

III. 바벨탑에서 내려와 동굴로: 플라톤 정치철학에 대한 오크숏의 해석

IV. 동굴 속에서 하늘 바라보기: 오크숏 정치철학의 의의

V. 결론

 

4 아렌트의 플라톤 비판에 대한 고찰: 목적-수단 논리를 중심으로(표광민)

I. 서론

II. 아렌트의 플라톤 해석에 대한 해석들

III. 물질세계의 속성으로서 목적-수단 논리

IV. 목적-수단 관계 너머의 정치

V. 결론: 진리를 거부한 아렌트 정치의 현재적 의미

 

5 플라톤의 철학적 주체성에 대한 푸코식 고찰: 플라톤적 자기 배려와 플라톤주의의 역설’(박수인)

I. 서론: 푸코의 플라톤 읽기

II. 푸코의 알키비아데스독해: 영성의 플라톤적 재구축

III. 푸코의 향연독해: ‘진정한 사랑자기 배려의 배려

IV. ‘플라톤주의의 역설’: 철학적 주체성에 대한 푸코식 성찰

V. 결론

 

6 플라톤 해석을 중심으로 살펴본 누스바움 철학의 변화와 특징: 인간과 행복에 대한 철학적 이해와 정치적 해법(안태현)

I. 서론

II. 플라톤 해석으로 보는 초기 누스바움: 합리주의 인간관 비판과 사랑 예찬

III. 누스바움 철학의 변화와 확장

IV. 결론

 

 

찾아보기



20세기 정치철학자의 문제의식과 플라톤 정치철학의 접점을 찾아서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박성우 교수를 필두로 한 이 책의 필진은 여섯 명의 철학자를 정치철학자로 규정하고 이들의 플라톤 해석을 면밀히 검토하여 20세기 시대진단의 근거로 삼는, 비교적 새로운 접근을 시도하였다. 독회와 세미나, 논문 발표 등을 통해 다양한 갈래에서 다듬어진 이 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1(이상원)에서는 하이데거의 플라톤 해석이 갖는 정치철학적 함의를 고찰하고, 2(박성우)에서는 스트라우스의 플라톤 해석을 스트라우스 정치철학의 두 테마와 관련하여 검토한다. 3(김지훈)에서는 오크숏의 정치철학이 도시 내에 존재하는 철학자의 역할 한계를 강조하고 있음을 주목하고, 이어서 오크숏의 문제의식이 정확히 플라톤 정치철학의 근본 문제와 맞닿아 있음을 밝힌다. 4(표광민)에서는 아렌트의 플라톤 비판의 근본적 동기가 목적-수단 논리의 거부에 있음을 주장하고, 5(박수인)에서는 자유와 윤리의 힘으로서의 철학적 존재 양식을 탐색했던 말년의 푸코가 수행한 플라톤 연구의 의의를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제6(안태현)에서는 누스바움의 연구가 초기에는 개인의 수준에서 좋은 삶을 바라보고 이해하려 노력한 반면, 인간의 삶을 개선하기 위한 사회적 노력이 필요함을 인식한 이후로는 공동체의 수준에서 좋은 삶을 논의하는 변화를 보였다고 지적하며, 이러한 누스바움의 지적 궤적에 그녀의 플라톤 해석이 그대로 투영되어 있다고 해석한다.

 


CLOSE ×

Quick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