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적 국제정치학을 모색하는

국제문제연구소

연구소총서

[국제문제연구소 총서55]경제안보와 기술동맹의 중견국 전략: 인도·태평양 시대의 글로벌 중추국가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5.01.21 조회수 212
첨부파일 file 국제문제연구소총서55표지.jpg [70kb]

<책소개>

글로벌 중추국가 외교의 제일 큰 과제는 미ㆍ중ㆍ일ㆍ러 주변 4개국 사이에서 한반도의 평화안정 및 공동번영을 도모하는 외교의 추진이다. 특히 미중 전략경쟁 사이에서 한국의 외교적 역량을 발휘하는 것이 가장 큰 관심사이다. 한국이 스스로 자체적인 플랫폼을 내세우거나, 미중의 플랫폼 모두에 발을 걸칠 수 없다면, 어느 한쪽의 플랫폼에 올라탈 수밖에 없다는 사실도 알아야 한다. 과거에는 미국의 플랫폼 위에 올라가지 않고 미국을 설득하는 것이 과제였다면, 이제는 미국의 플랫폼 위에 올라가서 어떻게 할 것인가의 문제가 관건이 되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멀어진 중국 플랫폼과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의 문제가 중요한 쟁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본 총서는 위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현재 경제안보와 기술동맹의 중견국 전략에 대해 톺아보고자 한다.

<목차>

  • 제1장 경제안보와 기술동맹의 중견국 전략: 인도·태평양 시대의 글로벌 중추국가
    I. 머리말
    II. 인도·태평양 시대의 글로벌 중추국가
    III. 경제안보와 기술동맹의 글로벌 중추국가
    IV. 글로벌 중추국가의 복합적 지평
    V. 이 책의 구성

    제1부 경제안보의 중견국 전략
    제2장 중견국 한국의 경제안보 전략
    I. 서론: 초불확실성 시대와 경제안보
    II. 경제안보 연계 전략의 기원과 변화
    III. 주요국의 경제안보 전략
    IV. 한국의 경제안보 전략: 형성과 변화
    V. 결론 및 시사점: 글로벌 중추국가의 경제안보 전략

    제3장 일본의 경제안보정책과 일본형 산업정책의 유산
    I. 서론
    II. 일본 경제안보정책의 국제적 배경과 국내적 조건
    III. 일본 경제안보정책의 등장과 운용
    IV. 일본형 산업정책의 두 유형과 일본 경제안보정책의 양대 축
    V. 결론

    제4장 대만의 경제안보: 신남향정책과 반도체 산업
    I. 머리말
    II. 신남향정책
    III. 신남향정책의 실적에 대한 평가
    IV. 반도체 산업: 호국신기 대 깨진 둥지
    V. 결론

    제2부 기술동맹의 중견국 전략
    제5장 일본과 대만의 반도체 기술협력과 외교전략
    I. 서론
    II. 기술협력 네트워크 구축
    III. 일본-대만 반도체 클러스터 구축
    IV. 일본과 대만의 복합 네트워크 전략
    V. 결론

    제6장 인도·태평양 지역 정보협력의 군사안보적 의미와 한국의 외교
    I. 문제제기
    II. 국가 간 정보협력의 의미와 효과: NATO의 사례
    III. 인태지역 군사정보 협력
    IV. 한국의 인태지역 정보협력과 군사외교

    제7장 인도·태평양 지역의 세력권 경쟁과 동맹체제의 전환
    I. 문제제기
    II. 동북아의 동맹체제: 구조, 쟁점과 접근시각
    III. 구조적 비대칭과 동맹 네트워크
    IV. 군사적 비대칭과 동맹 네트워크
    V. 상호의존 전략과 동맹 네트워크
    VI. 결론 및 동맹전략에 대한 함의

    제3부 중견국 전략의 복합적 지평
    제8장 경제안보를 둘러싼 미디어 편향과 정치양극화: 2019년 한일 무역분쟁 사례를 중심으로
    I. 서론
    II. 경제안보전략에 대한 국내정치 선호와 미디어 효과
    III. 한일 무역분쟁을 둘러싼 미디어 편향과 정치적 양극화
    IV. 결론: 경제안보에 대한 양극화 현상이 주는 정치적 함의

    제9장 탈단극시대, 중견국 외교의 종언?: 중견국 담론의 지식사회학과 대한민국 대전략 패러다임 변동
    I. 서론
    II. 자유세계질서하 중견국 담론을 “역사화”하기
    III. 탈단극 “현실정치(realpolitik)” 시대의 비강대국 외교
    IV. 사례연구: 한국 중견국 외교전략의 패러다임 전환
    V. 결론

    제10장 복합위기 시대 중견국 한국의 복합외교
    I. 머리말
    II. 글로벌 복합위기와 동아시아
    III. 중견국 외교의 구분과 한국의 복합적 특성
    IV. 복합위기 극복을 위한 한국의 복합외교 전략 모색
    V. 한미동맹과 경제·기술안보
    VI. 맺음말

    <저자>

    김상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이승주 중앙대학교 정치국제학과 교수
    이정환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이왕휘 아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박성빈 아주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오승희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조교수 
    송태은 국립외교원 안보통일연구부 조교수 
    윤대엽 대전대학교 군사학과 및 PPE(정치, 경제, 철학) 전공 부교수
    장기영 경기대학교 정치외교학전공 교수
    차태서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부교수 
    조한승 단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CLOSE ×

Quick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