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적 국제정치학을 모색하는

국제문제연구소

연구소총서

[국제문제연구소 총서56] 글로벌사우스의 부상과 국제정치 변동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5.10.14 조회수 16
첨부파일 file 글로벌사우스의부상과국제정치변동.jpg [26kb]


<책 소개>


글로벌사우스(Global South)의 급속한 부상은 국제정치 전반에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그것이 국제정치 미래에 어떤 변화를 불러올지에 대한 궁금증도 커지고 있다. 이에 대한 다양한 수준과 측면에서의 연구가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해 보인다. 이 책은 글로벌사우스 부상과 국제정치 변동에 관한 주요국들의 인식과 그 부상을 이끌고 있는 글로벌사우스의 ‘선발 중견국들’의 대외 전략을 이해하는 동시에 그런 국제정치적 흐름이 한국 외교에 대해 지니는 의미를 검토한다.
한국 입장에서 글로벌사우스 연구는 정책적 측면에서도 중요성을 지닌다. 경제안보, 개발협력, 군사협력 측면에서 글로벌사우스와의 협력은 한국에게 새로운 기회를 가져다줄 수 있다. 식민지 지배 및 해방과 분단을 경험하고, 개발도상국의 시기를 지나 선진국으로의 발전을 이룩한 한국은 서구 선진국들과는 달리 글로벌사우스 국가들과 여러 측면에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런 점에서 지구정치에서 특별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역사적 경험은 글로벌사우스 국가들과의 협력 과정에서 신뢰 기반의 포용적 파트너십을 구축할 수 있는 든든한 기반이 될 수 있다.


<목차>

머리말

제1장 글로벌사우스: 개념, 역사, 그리고 그 국제정치적 도전

I. 서론
II. 글로벌사우스 정의하기
III. 글로벌사우스의 역사적 전개
IV. 글로벌사우스 부상과 관련된 주요 논점들
V. 글로벌사우스의 국제정치적 영향과 한계
VI. 한국 외교에의 함의
VII. 책의 구성과 주요 내용

제1부 강대국 정치와 글로벌사우스

제2장 미국과 중국의 국제질서 경쟁과 글로벌사우스

I. 서론
II. 미국 주도 단극패권 체제의 약화와 국제질서의 변환
III. 지정학적 변화 속에서 글로벌사우스 국가들의 변화 과정
IV. 미국과 중국의 질서경쟁과 글로벌사우스에 대한 접근의 차이
V. 글로벌사우스의 전략적 현황과 중국의 전략 내용
VI. 미국의 글로벌사우스 전략을 둘러싼 현황과 미래의 불확실성
VII. 결론

제3장 글로벌사우스와 미국
I. 서론
II. 글로벌사우스의 부상
III. 미중 경쟁과 글로벌사우스
IV. 바이든 행정부의 글로벌사우스 정책
V. 트럼프 행정부의 글로벌사우스 정책
VI. 결론

제4장 일본 인도태평양 외교의 변용과 글로벌사우스 전략
I. 서론
II. G7 히로시아 정상회의와 기시다 정부의 글로벌사우스 전략
III. 일본 인도태평양 외교의 변용과 글로벌사우스
IV. 일본의 글로벌사우스 전략의 구체화와 성격
V. 일본의 다면 외교 전통과 글로벌사우스 전략
VI. 결론: 헷징 전략으로서의 일본의 ‘가교’ 외교와 글로벌사우스

제5장 글로벌사우스의 부상과 국제정치경제의 변동
I. 머리말
II. 글로벌사우스의 기원
III. 글로벌사우스의 부상
IV. 서방의 대응
V. 글로벌사우스/노스 대 글로벌사우스/이스트/웨스트: 중국 문제
VI. 글로벌 무역질서
VII. 글로벌 통화질서: 탈달러화
VIII. 글로벌사우스의 한계와 과제
IX. 맺음말

제2부 글로벌사우스와 브릭스의 확장

제6장 중국 외교와 글로벌사우스

I. 글로벌사우스와 중국
II. 글로벌사우스 개념의 수용
III. 글로벌사우스 정책의 발전
IV. 중국과 글로벌사우스 관계의 미래
V. 글로벌사우스와 한국

제7장 국제질서 재편기 인도의 글로벌사우스 전략
I. 머리말
II. 인도 외교정책의 맥락에서 비동맹과 글로벌사우스의 관계
III. 인도 글로벌사우스 전략의 외교적 활용
IV. 맺음말: 인도 글로벌사우스 외교의 전망과 과제

제8장 러시아의 글로벌사우스에 대한 인식과 전략
I. 구조: 러시아의 다극질서 추구와 글로벌사우스
II. 자극: 우크라이나 전쟁과 글로벌사우스 ‘현상’
III. 담론: 러시아의 긍정 담론 정식화와 ‘세계다수’
IV. 정책: 러시아의 글로벌사우스에 대한 접근 정책과 한계
V. 제16차 카잔 브릭스 정상회담의 의미
VI. 글로벌사우스의 부상과 ‘중간국가’ 한국

제9장 글로벌사우스의 도전과 대응: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전략과 딜레마
I. 글로벌사우스의 부상과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위치권력
II. 글로벌사우스의 행위자로서 아프리카: 위치권력과 딜레마
III. 남아프리카공화국 외교정책: 비동맹원칙과 균형전략
IV.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글로벌사우스 관여정책
V. 맺으며: 남아프리카공화국 글로벌사우스 전략의 딜레마

제10장 브라질의 글로벌사우스 인식과 전략
I. 서론
II. 글로벌사우스 국가로서의 브라질의 정체성과 인식
III. 브라질의 전통적 외교정책과 글로벌사우스 전략
IV. 룰라 3기 정부의 글로벌사우스 전략
V. 향후 전망 및 과제

제11장 사우디아라비아의 글로벌사우스 인식과 전략
I. 서론
II. 글로벌사우스의 강국, 사우디아라비아의 인식과 역할
III. 미중 갈등 속 사우디아라비아의 브릭스에 대한 전략적 고려
IV. 사우디아라비아의 다자연계 전략 추구
V. 결론

제12장 튀르키예의 글로벌사우스 인식과 전략
I. 지정학의 지각변동에 맞선 튀르키예의 도전
II. 글로벌사우스 국가 튀르키예의 외줄 타기 균형 전략
III. 글로벌사우스의 리더를 꿈꾸는 튀르키예의 강경한 반이스라엘 정책
IV. 에르도안 대통령의 국내 권력 기반 다지기
V. 나가며

제13장 인도네시아의 글로벌사우스 인식과 전략
I. 서론
II. 인도네시아와 글로벌사우스
III. 강대국 갈등 속 글로벌사우스
IV. 다극 질서와 글로벌사우스
V. 결론

제3부 글로벌사우스의 부상과 한국 외교

제14장 글로벌사우스의 도전과 한국의 군사협력

I. 들어가기 전에
II. 글로벌사우스 군사력 현황과 도전
III. 한국의 군사협력과 고려사항
IV. 맺음말

제15장 글로벌사우스와 한국의 경제안보
I. 글로벌사우스의 범주
II. 글로벌사우스가 경제안보전략에서 중요한 이유
III. 글로벌사우스의 약점과 한계
IV. 한국 경제안보전략의 발전 과정
V. 최근 경제안보전략 평가
VI. 한국의 경제안보전략과 글로벌사우스

제16장 글로벌사우스의 도전과 한국의 개발협력외교

I. 들어가며: 글로벌사우스의 개발협력적 접근
II. 글로벌사우스의 전략적 행보와 국제개발협력의 동향
III. 한국의 글로벌사우스 개발협력외교
IV. 맺으며: 글로벌 커넥터로서의 한국

제17장 글로벌사우스의 도전과 한국의 공공외교
I. 서론
II. 글로벌사우스의 귀환과 한국 외교
III. 한국 공공외교의 성과와 한계
IV. 한국 공공외교의 혁신방안
V. 결론


<저자>

신범식(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전재성(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신성호(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이왕휘(아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이정환(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김흥규(아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최윤정(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장세호(국가안보전략연구원 연구위원)
김태균(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권기수(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조교수)
김강석(한국외국어대학교 아랍어과 조교수)
장지향(아산정책연구원 수석연구위원, 지역연구센터장)
최경준(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조교수)
박기철(숙명여자대학교 글로벌협력전공 겸임교수)
김흥종(아산정책연구원 객원선임연구위원)
김치욱(울산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CLOSE ×

Quick Menu